일정

제801회 하우스콘서트 | 2020 아티스트 시리즈 3. 조성현(Flute), 송영주(Piano), 황호규(Double Bass), 임주찬(Drums) *예약마감
- 일자
- 2020-09-28
- 시간
- 20:00
- 출연
- 조성현(Flute), 송영주(Piano), 황호규(Double Bass), 임주찬(Drums)
- 장소
- 율하우스 지도보기
- 관람료
- 일반 40,000원
- 문의
- 02-576-7061, 010-2223-7061
.jpg)
제801회 하우스콘서트
일 시 ㅣ 2020년 9월 28일(월) 8시
출 연 ㅣ 조성현(Flute), 송영주(Piano), 황호규(Double Bass), 임주찬(Drums)
장 소 ㅣ 율하우스
주 소 |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26길 46-6 (석전빌딩 지하 1층)
회 비 | 40,000원 (*사전예약/25명)
문 의 | 02-576-7061, 010-2223-7061
후 원 |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SBS문화재단
► 본 공연의 예약은 마감되었습니다.
전체 일정 및 프로그램 보기 : http://thehouseconcert.com/board/list.html?pos=view&no=3121
예약하기 : https://bit.ly/2OudfJB
PROGRAM
<플루티스트 조성현의 Colors of the Wind>
Flute & Blue
Claude Debussy (1862-1918)
Syrinx for Solo Flute, L.129
*조성현(Flute)
Johann Joachim Quantz (1697-1773)
Preludio in D major for Solo Flute
*조성현(Flute)
Antonio Carlos Jobim (1927-1994)
Luiza
*송영주(Piano), 조성현(Flute)
송영주 (*1973)
- Sweet Rain
*송영주 트리오, 조성현(Flute)
송영주 (*1973)
- York Avenue
*송영주 트리오
Claude Bolling (*1930)
Suite for Flute and Jazz Piano Trio
1. Baroque and Blue
2. Sentimentale
3. Javanaise
4. Fugace
5. Irlandaise
6. Versatile (with Bass Flute)
7. Véloce
*조성현(Flute), 송영주 트리오
※ 프로그램은 연주자의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PROFILE
최근 연세대학교 음악대학의 역대 최연소 조교수로 임명되며 화제를 낳은 플루티스트 조성현은 탄탄한 기량을 바탕으로 오케스트라 플레이어로서, 실내악 주자로서, 솔리스트로서 국제적인 포지셔닝을 구축해온 대한민국 대표 플루트 주자이다.
일찍이 영국 플루트 협회 콩쿠르, 쿨라우 국제 플루트 콩쿠르, 베이징 국제 음악 콩쿠르 등을 석권하고 2012년 이탈리아에서 열린 제1회 세베리노 가첼로니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플루트계의 신성으로 떠오른 그는 이후 2015년, 체코에서 열린 프라하의 봄 국제 음악 콩쿠르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음악계의 큰 주목을 받았다. 이후 중국 국제 플루트 페스티벌, 밀라노 인 콘트리 뮤지칼리 시리즈 등에 초청받아 리사이틀을 열었고 제3회 가첼로니 콩쿠르에는 심사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한 그는 최근 독일 슈베칭엔 페스티벌, 이탈리아 크레모나 윈드 페스티벌 등 유수의 무대에 출연하는 한편 독일 쾰른 필하모닉(귀르체니히 오케스트라, 음악감독: 프랑수아-자비에 로트)의 종신 수석으로도 맹활약 중이다.
2013년부터 한 시즌 반 동안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인턴십 프로그램인 카라얀 아카데미에서 엠마누엘 파후드, 안드레아스 블라우, 미하엘 하젤의 멘토링 하에 베를린 필하모닉의 단원으로 오케스트라 커리어를 시작한 조성현은 이후 이반 피셔가 이끄는 베를린 콘체르트 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제1수석으로 임명되었으며, 현재 쾰른 필하모닉 이외에도 평창대관령음악제 페스티벌 오케스트라에서도 플루트 수석을 맡고 있다.
코리안심포니, 부천시향, 경기필하모닉 등과의 협연 무대,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클래식 스타 시리즈’, 금호아트홀 ‘라이징 스타 시리즈’, 곤지암 플루트 페스티벌 등 국내 다양한 무대에서 관객들을 만나온 그는 2015년 칼 닐센 국제 실내악 음악 콩쿠르의 준우승팀인 바이츠 목관 5중주(오보에: 함경 / 클라리넷: 김한 / 바순: 리에 코야마 / 호른: 리카르도 실바)의 일원으로서, 금호아시아나솔로이스츠의 멤버로서도 꾸준히 실내악 무대를 선보여왔다. 한편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원대, 건국대, 숭실대, 강남대 음대 등 여러 교육기관에 초청받아 마스터클래스를 열며 후학들과 꾸준히 교류하고 있으며, 발달장애아 음대생으로 구성된 앙상블 <작은 신의 아이들(음악감독: 배재영)>의 멘토링도 정기적으로 담당 중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예비학교 및 미국 오벌린 음대,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 뮌헨 국립음대를 졸업한 조성현은 일본 산교(Sankyo) 플루트의 아티스트이자 한국 유일의 플루트 전문 온오프라인 플랫폼, 플루트 아트센터(FAC)의 음악감독으로도 활약하며 자신의 영역을 무한히 확장해 나가고 있다.
송영주 | Youngjoo Song (Piano)
재즈 피아니스트 송영주는 숙명여대 피아노과, 버클리 음대, 맨하탄 음대, 뉴욕주립대에서 재즈피아노를전공했다. 2008, 2010 재즈피플 ‘현재 가장 주목 받는 재즈 연주자’ 피아노 부문에 선정된 그는, 2010, 2011, 2018년 음반으로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재즈음반, 최우수 재즈연주상을 받았으며, 최근 발매한 재즈 보컬 써니킴과의 듀오 음반을 포함하여 총 12장의 리더작 앨범을 발매한 바 있다. 양희은, 김동률, 성시경, 비, 수퍼쥬니어, 엑소, 규현, 윤하 등 수많은 대중 가수들의 음반에 참여했을 뿐 아니라 조수미, 송영훈, 김지언 등 클래식 연주자들을 비롯, 크로스오버 팀인 포르테 디 콰트로 등 다양한 아티스들과의 협업 또한 이어가고 있다. 한국인 최초로, 뉴욕 Blue Note에서 여러 차례의 단독공연을 하였으며, 2017년 Washington DC Jazz Festival에 초청되어 연주하기도 했다. 현재 서울신학대학교 실용음악과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황호규 | Hogyu Hwang (Double Bass)
Berklee College of Music, Loyola University 음악 대학원, Thelonious Monk Institute of Jazz를 졸업한 황호규는, Herbie Hancock, John Scofield, Jeff Tain Watts 등 세계적인 재즈뮤지션 들과 협연하며 왕성히 활동 중이다. New York Blue Note, Iridium, Jazz Standard, JVC Jazz Festival, Kennedy Center, Bean Town Jazz Fest, SJF 등 세계 각지에서 활발히 연주 중인 그는, 2018년 데뷔 앨범인 ‘Straight No Chaser’로 한국대중음악상 ‘베스트 재즈앨범 연주상’을 수상하였으며, 호원대학교 실용음악과 전임교수로 임용되어 후학양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임주찬 | Joo Chan Im (Drums)
임주찬은 2002년 서울예술대학 입학 후, The New School Jazz and Contemporary Music에서 학사과정을, New York City University (Queens College)에서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Mother’s Cup’이란 타이틀로 개인앨범을 발표한 바 있는 그는 이지영, 임미정, 임인건, 송영주, 김가온, 박주원, 이적, 웅산, 김범수, Paul Kirby, 김준범 트리오, 정미조 등 다양한 장르의 뮤지션과 연주활동을 하고 있으며, 대구재즈페스티벌, 지산락페스티벌, 칠포재즈페스티벌, 태화강재즈페스티벌, 청남대재즈토닉페스티벌, 서울숲재즈페스티벌, 예술의전당 등에서 연주한 바 있다. 현재 임주찬은 호원대, 서울신학대, 동덕여대에 출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