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제764회 하우스콘서트(대학로) | 임미정(Piano) **예약마감
- 일자
- 2020-06-22
- 시간
- 20:00
- 출연
- 임미정(Piano)
- 장소
- 대학로 예술가의집 3층 지도보기
- 관람료
- 일반 30,000원
- 문의
- 02-576-7061, 010-2223-7061
.jpg)
제764회 하우스콘서트 in 예술가의집
일 시 ㅣ 2020년 6월 22일(월) 8시
출 연 ㅣ 임미정(Piano)
장 소 ㅣ 대학로 예술가의 집 3층
주 소 | 서울시 종로구 동숭길 3 (동숭동 1-130)
회 비 | 성인 30,000원 / 고등학생 이하 15,000원 (*사전예약/50명)
예 약 | 예약이 마감되었습니다.
문 의 | 02-576-7061, 010-2223-7061
후 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SBS문화재단
► 더하우스콘서트의 모든 공연은 '사전 예약제'로 진행됩니다.
본 공연은 예약이 마감되었으며,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은 문의번호로 연락바랍니다.
PROGRAM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Fantasy No.3 in D minor, K.397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Piano Sonata No.11 in A major, K.331
1. Andante grazioso
2. Menuetto
3. Alla turca: Allegretto
-Intermission-
Frédéric Chopin (1810-1849)
Waltz No.3 in A minor, Op.34 No.2 “Valse brillante”
Nocturne in C minor, Op.48 No.1
Frédéric Chopin (1810-1849)
Piano Sonata No.2 in B-flat minor, Op.35
1. Grave - Doppio movimento
2. Scherzo
3. Marche funèbre
4. Finale. Presto
※ 프로그램은 연주자의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PROFILE
임미정 | Mijung Im (Piano)
음악을 통해 자연과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피아니스트 임미정은, 정제된 톤과 영적 감성을 추구하는 피아니스트이며 한세대학교 예술학부 교수이자 (사)하나를 위한 음악재단의 설립자이다. 중국 연변대학교 석좌교수, 국민일보와 월 스트리트 저널 코리아 등의 컬럼 활동 및 교육자로서의 역할과 성찰을 통해 음악의 이상이 사회적 활동에서 구현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음대 졸업 후, The Juilliard School에서 석사, SUNY at Stony Brook에서 박사, 2017년 카톨릭대 생명문화대학원에서 생명문화학 석사를 받았다. 84년 동아음악콩쿠르 1위 입상, 1997년 San Antonio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1위 입상 후, 뉴욕의 링컨센터 에이버리 피셔 홀, 시카고, 워싱턴을 포함한 미주지역 도시들과 불가리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스위스 등에서 협연 및 솔로 독주회를 하였다. 2004년 신시내티 월드 피아노 콩쿠르, 상하이에서 열린 2013년 The 1st China National 콩쿠르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미국의 평론가 모리스 힌슨은 임미정의 연주를 평가하며, ‘이 시대 가장 중요한 피아니스트 중 한명‘으로 극찬한 바 있다.
2005년 쇼팽의 프렐류드 전곡 CD를 발매하였고 북경, 광저우, 남경, 항조우, 상하이등 9개 도시에서 중국 순회독주회를 하였다. 2005년 '제주에서 평양까지'라는 타이틀로, 평양을 포함한 '임미정 6개 도시 전국순회독주회'를 하였으며, 2009년 이후에는 캄보디아, 탄자니아 등 클래식 음악의 전통 지역이 아닌 곳에서의 교육 및 연주활동을 확장하고 있다.
임미정은 M4one 챔버앙상블, ‘피아노 블러바드’를 창단하였고, 2012년 이후 생명과 사회적 생태시대를 알리는 '그린콘서트', 2014년 평화와 미래를 위한 OCCF(One Corea Cultural Festival), 아세안 국가 음악가들의 연합 합창단인 AYCO(One Asia Choir for One)등 새로운 장르와 융합문화 프로젝트를 기획해 왔다. 2019년부터 청년 예술가들을 미얀마와 베트남에 파견하는 코이카 프로젝트 봉사단 사업을 이끌고 있으며, 2018년 6월 강원도 양구에 있는 국립 DMZ자생식물원에서 UN오케스트라와 함께, DMZ를 PLZ(비무장지대를 생명과 평화의 지대로)로 인식하자는 PLZ(Peace and Life Zone)페스티벌을 시작, 2020년부터는 강원도 5개군 접경지역의 PLZ페스티발에서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