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제667회 하우스콘서트(대학로) | 클레머티스 스트링 앙상블
- 일자
- 2018-11-05
- 시간
- 20:00
- 출연
- 클레머티스 스트링 앙상블
- 장소
- 대학로 예술가의집 3층 지도보기
- 관람료
- 일반 30,000원
- 문의
- 02-576-7061, 010-2223-7061
.jpg)
제667회 하우스콘서트 in 예술가의집
일 시 ㅣ 2018년 11월 5일(월) 8시
출 연 ㅣ 클레머티스 스트링 앙상블
장 소 ㅣ 대학로 예술가의 집 3층
주 소 | 서울시 종로구 동숭길 3 (동숭동 1-130)
회 비 | 성인 30,000원 / 고등학생 이하 15,000원 (*현금 결제만 가능)
문 의 | 02-576-7061, 010-2223-7061
후 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SBS문화재단
► 30년 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 재학 중이던 학생들이 의기투합하여 클레머티스 실내악단을 창단했습니다. 그리고 30년 후인 2018년 가을, 이들이 다시 한자리에 모입니다. 열정과 패기가 넘쳤던 그들의 음악은 세월과 함께 성숙해졌고, 그들이 가는 곳마다 깊은 울림을 만들어내고 있지요. 변함없이 각자의 자리에서 음악을 좇고 있는 클레머티스 실내악단 멤버들과 함께 이들을 닮아 음악을 깊게 탐구하는 젊은 연주자들의 앙상블이 대학로에 찾아오는데요. 깊어져 가는 만추의 계절에 음악을 사랑하는 이들이 선사할 열정과 환희를 만끽해보세요.

Hokwang Lee (*1960)
Arirang for String Orchestra
Pyotr Il’yich Tchaikovsky(1840-1893)
Serenade for String Orchestra in C major, Op.48
I. Pezzo in forma di sonatina: Andante non troppo - Allegro moderato
II. Valse: Moderato - Tempo di Valse
III. Elegia: Larghetto elegiaco
IV. Finale (Tema russo): Andante - Allegro con spirito
-Intermission-
Dag Wirén (1905-1986)
Serenade for String Orchestra, Op.11
I. Preludium
II. Andante espressivo
III. Scherzo: Allegro vivace - Trio: Poco meno molto
IV. Marcia: Tempo di marcia, molto ritmico
Edvard Grieg (1843-1907)
Holberg Suite, Op.40
I. Praeludium: Allegro vivace
II. Sarabande: Andante
III. Gavotte: Allegretto
IV. Air: Andante religioso
V. Rigaudon: Allegro con brio
※ 프로그램은 연주자의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PROFILE
클레머티스 스트링 앙상블 | Clematis String Ensemble
_이호광 | Hokwang Lee (Conductor)
지휘자 이호광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과 대학원에서 작곡과 지휘를 전공 후 도미하여, 노스웨스턴 대학에서 수학하며 노스웨스턴 대학 오케스트라, 노스 쇼어 챔버 오케스트라 등을 지휘하였다. 1981년 클레머티스 실내악단을 창단하여 7년여간 이끌었던 그는 선화예술학교와 계원예술학교 오케스트라, 연세대 의대 오케스트라를 비롯한 아마추어 관현악단을 지휘하였으며, 1993년에는 시카고에서 청소년 교향악단을 창단하여 아리랑을 바탕으로 한 관현악을 위한 아리랑을 작곡하여 연주하기도 했다. 수많은 현대음악제에서 현대 작곡가들의 다양한 분야의 작품뿐만 아니라 오페라, 발레, 무대음악을 지휘하였다.
_이재민 | Jaemin Lee (Violin/악장)
바이올리니스트 이재민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한 후 도독하여 독일 프라이부르크 국립음대를 졸업하였다. 이화경향콩쿠르, 한국일보콩쿠르, 중앙일보콩쿠르(1위) 등 국내 유수의 콩쿠르를 석권하였으며, 귀국 후 부천 필하모닉 악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서울시립교향악단, 서울바로크합주단(현 KCO: 코리안 챔버 오케스트라), 미국 하버드 레드클리프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하였으며, 스코틀랜드 에버딘 국제음악제, 일본 쿠사츠 국제 음악제에서 연주했다. 추계예술대, 수원대, 성신여대 초빙교수를 역임한 그는 KCO의 수석 단원으로 활동하며 서울종합예술학교, 서울중앙음악학원(SCC)의 전임교수로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_방영호 | Yongho Bang (2nd Violin/수석)
바이올리니스트 방영호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하고 러시아 그네신 뮤직아카데미 지휘과 (사사: Vladimir Zinoviev) 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 중앙음악콩쿠르에서 2회 입상하고 서울시 청소년 교향악단 악장을 역임했으며 쥬네스 뮤지컬의 한국 대표로 월드오케스트라에 참여하였다. 1984년 KBS교향악단에 입단해 활동하며 마스터즈 4중주단, 서울챔버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했고 현재 KBS교향악단 제2바이올린 부수석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 심포니에타, 가톨릭대학교 의대, 서울대학교 의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고려대학교 등의 대학오케스트라와 사회인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
_유현아 | Hyun-a Yoo (Violin)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1985년에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에 입단하여 서울 챔버오케스트라, 서울 심포니에타의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2007년 서울 신포니아 솔리스티를 창단하여 악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서울 아카데미 앙상블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_이윤 | Yoon Lee (Violin)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를 졸업했다. 1986년부터 2015년까지 KBS교향악단에서 활동했으며 현재 KBS관현악단에서 활동하고 있다.
_김아현 | Ah-hyun Kim (Violin)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Aberdeen Youth Festival에 참여했으며 난파 음악제에서 입상했다.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제1바이올린 단원, 메타모르포젠 앙상블 서울 멤버로써 활동하고 있으며 동덕여대에 출강하여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_김정수 | Jungsoo Kim (Violin)
바이올리니스트 김정수는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한 후 쾰른 국림음대에서 디플롬과 석사 과정을, 경희대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KBS신인음악콩쿠르, 한국음악협회콩쿠르에서 대상을 받았고 그 외 유수의 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현재 플레이어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서울 월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금천교향악단, 리움 챔버오케스트라에서 악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목원대, 덕원예고 출강, 서울예대 외래교수로 활동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_권소영 | Soyoung Kwon (Violin)
브니엘 예술중학교, 선화예고를 실기수석으로 졸업한후 예일대학교 음악대학 석사 및 최고 연주자 과정을 전액 장학생으로 졸업했으며 보스턴 음대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코리아헤럴드콩쿠르, 아메리칸 프로티지 국제콩쿠르 현악부문에서 우승했으며 음악저널콩쿠르 등 국내외 유수의 콩쿠르에 입상하였다. 뉴욕 카네기홀 와일 리사이틀홀에서 독주회를 가졌고, 부산 시립교향악단, 군포 프라임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하였다. 현재 삼육대학교 글로벌 예술영재교육원 외래교수, 서울 비르투오지 챔버오케스트라 멤버, 루바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악장으로 활동 중이다.
_문지원 | Jiweon Moon (Violin)
선화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도독하여 라이프치히 국립음대에서 전문연주자과정과 석사과정을 만점으로 마쳤고 최고 연주자 과정에서 최고점으로 졸업하였다. BBC프롬스,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등에 참가하여 연주하였고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에서 활동했다. 또한 라이프치히 바흐 꼴레기움(NBCM) 등 다양한 앙상블 단체에서 솔리스트 및 앙상블 주자로 참여했다.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에서 단원으로 활동하던 중 올해 4월 예술의 전당 리사이틀홀에서의 귀국 독주회를 시작으로 국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_조상운 | Sangun Cho (Viola)
비올리스트 조상운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바이올린을 전공했고 이후 비올라로 전공을 바꿔 프랑스로 유학을 떠났다. 유럽 비올라계의 대모인 Clotte Lequin을 사사하였으며 휠 말메종 국립 음악원과 에꼴 노르말 음악원에서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1등으로 졸업하였다. 귀국 후 부다페스트 심포니 오케스트라, 서울 시립 교향악단, 수원 시립 교향악단 등 국내외 유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고 서울 시립 교향악단 제2수석을 역임했다. 현재 계명대학교에 출강하고 있으며 아르끼 뮤직소사이어티의 음악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_이영림 | Younglim Lee (Viola)
선화예중, 선화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후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하였고, 이후 도독하여 만하임 국립음대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음악세계콩쿠르, 학생음협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이탈리아 아스콜리피체노 페스티발에 참가하여 연주하였고 바덴바데너 필하모니, 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 유라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유라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경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목포시향 객원수석을 역임했다. 선화예중, 선화예고, 상명대, 동덕여대, 단국대 강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오케스트라 디 피니 수석, 서울 코뮤니타스 앙상블 멤버로 활동 중이다.
_이현영 | Hyunyoung Lee (Viola)
비올리스트 이현영은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후 도독하여 로스톡 국립음대에서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그 후에 루마니아 국립 라디오 오케스트라 협연을 시작으로 한미청소년콩쿠르 2위, 신구대학교 초청 실내악 연주를 비롯하여 로스톡 국립음대 재학 중 다양한 클래스 연주회에 참여하여 지속적인 활동을 했다. 과천시립청소년교향악단 단원, Theater und Orchester Heidelberg 연수단원을 역임하고 베를린, 뤼겐 등 여러지역에서 객원으로 연주에 참여했다. 조상운, 성기선, 김선주, 방미경, Felix Schwartz 를 사사하였다. 귀국 후 현재 이화필하모닉, 원주시향, 성남시향, 한경필하모니, 뉴월드 필하모니 (구 유라시안 필하모니), 서울 콘서트필하모닉오케스트라,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앙상블 아리아띠 등에서 다양한 연주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_권유진 | Yoojin Kwon (Cello)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프랑스 에꼴 노르말 드 무지크 파리스, 에꼴 라흐마니노프에서 수학했다. 1987년 파리 Salle Pleyel에서 스승 Mme Rene Flachot와 로스트로포비치 기념연주에 참여했으며 3년간 Fete De La Musique에서 Mr.Serge Hurel교수의 챔버 오케스트라에서 솔리스트로 활동했고 불가리아 루제 심포니와 협연했다. 서울 심포니 오케스트라 수석 대행, 뉴서울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수석, 서울 솔리스텐 앙상블, Bee House 첼로 앙상블 등 다양한 앙상블 단원으로 활동했다. 나덕성, 전봉초, Mr.Dmitri Markevich, Mme Rene Flachot, Mr. Manfred Stiltz를 사사했다.
_김지훈 | Jihoon Kim (Cello)
첼리스트 김지훈은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후 프랑스 파리 국립고등음악원과 파리 에꼴 노르말을 수석졸업했으며, 이후 프랑스 말메종 국립음악원 최고연주자과정과 지휘과 Superieur 과정을 졸업하였다. 제50회 조선일보사 주최 신인음악회에 출연했으며, 서울예고 실내악 콩쿠르 금상, 동아음악콩쿠르 1등, 프랑스 파리 고등음악원 실내악 콩쿠르 Trio 및 Duo 부문에서 각각 1위를 수상하였다. 성남시향, 인천시향, 원주시향, KT챔버 오케스트라,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KCO)와 협연하였고 예술의 전당 교향악축제에 초청되어 협연한 바 있다. 현재 동덕여대 교수, 장천 아트홀 관장, KCO 수석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_조윤선 | Yunsun Cho (Cello)
첼리스트 조윤선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였다. 미국 콜로라도 내셔널 레퍼토리 오케스트라, 독일 마인츠 뮤직 페스티벌, 서울올림픽 기념 국제음악제에서 연주했고 호암아트홀 주최 모닝 음악회, 서울시 오페라단 마티네 콘서트 등에 기획 및 연주로 참여했다. 유라시안 필하모닉 수석, KBS교향악단 객원 부수석, 강릉시향 객원수석을 비롯하여 서울문화재단 문화제휴팀 음악예술자문 및 오케스트라 코치, 코레일 심포니 코치를 역임했다. 현재 오케스트라 디 피니 예술감독 및 SNUa 첼로 앙상블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_서진희 | Jinhee Seo (Cello)
첼리스트 서진희는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였다. 육영콩쿠르에서 1등을 수상했고 대학 재학 중 동기들과 트리오를 결성하여 다양한 연주활동을 하였으며 클레머티스 챔버 앙상블의 멤버로도 활동했다. 대학 졸업후 시카고 American Conservatory of Music 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국내 귀국하여 계원예고, 안양예고, 덕원예고에 출강하는 동시에 트리오 활동과 협연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갔다. 이후 네덜란드로 건너가 아르테즈 예술대학교에서 연주학 과정을 수료했으며 현재 SNUa 첼로 앙상블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_심수정 | Sujung Shim(Cello)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1992년에 도미하여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Mr. Jensen을 사사하였다. 재학 중 다양한 첼로 페스티벌에 참여했으며 시카고에서 Korean-American Piano Trio로 연주 활동을 하였다. 또한 Chicago Library Series에 초대되어 Sulzer Library 등에서 연주하고 Korean-American youth Orchestra 와 협연하는 등 다양한 연주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난파콩쿠르, 음악세계콩쿠르에 입상하고 수원시향과 협연하였으며 Northwest Symphony의 객원수석을 역임하였다. 현재 시카고에서 클레머티스 첼로 콰르텟을 결성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_윤희찬 | Heechan Yun (Double Bass)
더블베이시스트 윤희찬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재학시절 서울시향에서 활동했으며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대에서 수학하며 활발한 앙상블 활동과 마스터 클래스 (Gary Karr, Francesco Pettacci) 및 풍부한 경험을 통해 음악적 소양을 쌓은 후 귀국하였다. 이후 서울시향과 유수의 단체를 통해 한층 성숙한 음악 활동을 펼쳤고 후학 양성에도 힘써 왔으며 다양한 연주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배공준, 김흥교, Manhart, Heinch Schneikart를 사사했으며 예원학교, 서울예고, 덕원예고, 계원예고, 중앙대, 수원대, 국민대, 서울시립대, 동덕여대, 세종대, 건국대 강사를 역임했다.
_김상훈 | Sanghoon Kim (Double Bass)
더블베이시스트 김상훈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한 후 불가리아의 소피아 음악원을 졸업하였다. 현재 KBS교향악단의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하우스콘서트 in 예술가의집 관람 방법 안내+
대학로 예술가의집에서 진행되는 하우스콘서트 대부분의 공연은 별도의 사전 예약 없이, 공연 당일 현장에 오셔서 회비(성인 30,000원 / 고등학생 이하 15,000원)를 내고 입장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공연은 8시에 시작되며, 7시 30분부터 입장하실 수 있습니다. 사전 예약으로 진행되는 일부의 공연에 대해서는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 공연임을 공지하고, 예약 방법과 일시 등을 안내드리고 있으니 이 점 참고 바랍니다.
_이호광 | Hokwang Lee (Conductor)
지휘자 이호광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과 대학원에서 작곡과 지휘를 전공 후 도미하여, 노스웨스턴 대학에서 수학하며 노스웨스턴 대학 오케스트라, 노스 쇼어 챔버 오케스트라 등을 지휘하였다. 1981년 클레머티스 실내악단을 창단하여 7년여간 이끌었던 그는 선화예술학교와 계원예술학교 오케스트라, 연세대 의대 오케스트라를 비롯한 아마추어 관현악단을 지휘하였으며, 1993년에는 시카고에서 청소년 교향악단을 창단하여 아리랑을 바탕으로 한 관현악을 위한 아리랑을 작곡하여 연주하기도 했다. 수많은 현대음악제에서 현대 작곡가들의 다양한 분야의 작품뿐만 아니라 오페라, 발레, 무대음악을 지휘하였다.
_이재민 | Jaemin Lee (Violin/악장)
바이올리니스트 이재민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한 후 도독하여 독일 프라이부르크 국립음대를 졸업하였다. 이화경향콩쿠르, 한국일보콩쿠르, 중앙일보콩쿠르(1위) 등 국내 유수의 콩쿠르를 석권하였으며, 귀국 후 부천 필하모닉 악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서울시립교향악단, 서울바로크합주단(현 KCO: 코리안 챔버 오케스트라), 미국 하버드 레드클리프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하였으며, 스코틀랜드 에버딘 국제음악제, 일본 쿠사츠 국제 음악제에서 연주했다. 추계예술대, 수원대, 성신여대 초빙교수를 역임한 그는 KCO의 수석 단원으로 활동하며 서울종합예술학교, 서울중앙음악학원(SCC)의 전임교수로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_방영호 | Yongho Bang (2nd Violin/수석)
바이올리니스트 방영호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하고 러시아 그네신 뮤직아카데미 지휘과 (사사: Vladimir Zinoviev) 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 중앙음악콩쿠르에서 2회 입상하고 서울시 청소년 교향악단 악장을 역임했으며 쥬네스 뮤지컬의 한국 대표로 월드오케스트라에 참여하였다. 1984년 KBS교향악단에 입단해 활동하며 마스터즈 4중주단, 서울챔버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했고 현재 KBS교향악단 제2바이올린 부수석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 심포니에타, 가톨릭대학교 의대, 서울대학교 의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고려대학교 등의 대학오케스트라와 사회인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
_유현아 | Hyun-a Yoo (Violin)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1985년에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에 입단하여 서울 챔버오케스트라, 서울 심포니에타의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2007년 서울 신포니아 솔리스티를 창단하여 악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서울 아카데미 앙상블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_이윤 | Yoon Lee (Violin)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를 졸업했다. 1986년부터 2015년까지 KBS교향악단에서 활동했으며 현재 KBS관현악단에서 활동하고 있다.
_김아현 | Ah-hyun Kim (Violin)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Aberdeen Youth Festival에 참여했으며 난파 음악제에서 입상했다.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제1바이올린 단원, 메타모르포젠 앙상블 서울 멤버로써 활동하고 있으며 동덕여대에 출강하여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_김정수 | Jungsoo Kim (Violin)
바이올리니스트 김정수는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한 후 쾰른 국림음대에서 디플롬과 석사 과정을, 경희대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KBS신인음악콩쿠르, 한국음악협회콩쿠르에서 대상을 받았고 그 외 유수의 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현재 플레이어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서울 월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금천교향악단, 리움 챔버오케스트라에서 악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목원대, 덕원예고 출강, 서울예대 외래교수로 활동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_권소영 | Soyoung Kwon (Violin)
브니엘 예술중학교, 선화예고를 실기수석으로 졸업한후 예일대학교 음악대학 석사 및 최고 연주자 과정을 전액 장학생으로 졸업했으며 보스턴 음대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코리아헤럴드콩쿠르, 아메리칸 프로티지 국제콩쿠르 현악부문에서 우승했으며 음악저널콩쿠르 등 국내외 유수의 콩쿠르에 입상하였다. 뉴욕 카네기홀 와일 리사이틀홀에서 독주회를 가졌고, 부산 시립교향악단, 군포 프라임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하였다. 현재 삼육대학교 글로벌 예술영재교육원 외래교수, 서울 비르투오지 챔버오케스트라 멤버, 루바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악장으로 활동 중이다.
_문지원 | Jiweon Moon (Violin)
선화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도독하여 라이프치히 국립음대에서 전문연주자과정과 석사과정을 만점으로 마쳤고 최고 연주자 과정에서 최고점으로 졸업하였다. BBC프롬스,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등에 참가하여 연주하였고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에서 활동했다. 또한 라이프치히 바흐 꼴레기움(NBCM) 등 다양한 앙상블 단체에서 솔리스트 및 앙상블 주자로 참여했다.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에서 단원으로 활동하던 중 올해 4월 예술의 전당 리사이틀홀에서의 귀국 독주회를 시작으로 국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_조상운 | Sangun Cho (Viola)
비올리스트 조상운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바이올린을 전공했고 이후 비올라로 전공을 바꿔 프랑스로 유학을 떠났다. 유럽 비올라계의 대모인 Clotte Lequin을 사사하였으며 휠 말메종 국립 음악원과 에꼴 노르말 음악원에서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1등으로 졸업하였다. 귀국 후 부다페스트 심포니 오케스트라, 서울 시립 교향악단, 수원 시립 교향악단 등 국내외 유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고 서울 시립 교향악단 제2수석을 역임했다. 현재 계명대학교에 출강하고 있으며 아르끼 뮤직소사이어티의 음악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_이영림 | Younglim Lee (Viola)
선화예중, 선화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후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하였고, 이후 도독하여 만하임 국립음대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음악세계콩쿠르, 학생음협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이탈리아 아스콜리피체노 페스티발에 참가하여 연주하였고 바덴바데너 필하모니, 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 유라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유라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경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목포시향 객원수석을 역임했다. 선화예중, 선화예고, 상명대, 동덕여대, 단국대 강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오케스트라 디 피니 수석, 서울 코뮤니타스 앙상블 멤버로 활동 중이다.
_이현영 | Hyunyoung Lee (Viola)
비올리스트 이현영은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후 도독하여 로스톡 국립음대에서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그 후에 루마니아 국립 라디오 오케스트라 협연을 시작으로 한미청소년콩쿠르 2위, 신구대학교 초청 실내악 연주를 비롯하여 로스톡 국립음대 재학 중 다양한 클래스 연주회에 참여하여 지속적인 활동을 했다. 과천시립청소년교향악단 단원, Theater und Orchester Heidelberg 연수단원을 역임하고 베를린, 뤼겐 등 여러지역에서 객원으로 연주에 참여했다. 조상운, 성기선, 김선주, 방미경, Felix Schwartz 를 사사하였다. 귀국 후 현재 이화필하모닉, 원주시향, 성남시향, 한경필하모니, 뉴월드 필하모니 (구 유라시안 필하모니), 서울 콘서트필하모닉오케스트라,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앙상블 아리아띠 등에서 다양한 연주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_권유진 | Yoojin Kwon (Cello)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프랑스 에꼴 노르말 드 무지크 파리스, 에꼴 라흐마니노프에서 수학했다. 1987년 파리 Salle Pleyel에서 스승 Mme Rene Flachot와 로스트로포비치 기념연주에 참여했으며 3년간 Fete De La Musique에서 Mr.Serge Hurel교수의 챔버 오케스트라에서 솔리스트로 활동했고 불가리아 루제 심포니와 협연했다. 서울 심포니 오케스트라 수석 대행, 뉴서울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수석, 서울 솔리스텐 앙상블, Bee House 첼로 앙상블 등 다양한 앙상블 단원으로 활동했다. 나덕성, 전봉초, Mr.Dmitri Markevich, Mme Rene Flachot, Mr. Manfred Stiltz를 사사했다.
_김지훈 | Jihoon Kim (Cello)
첼리스트 김지훈은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후 프랑스 파리 국립고등음악원과 파리 에꼴 노르말을 수석졸업했으며, 이후 프랑스 말메종 국립음악원 최고연주자과정과 지휘과 Superieur 과정을 졸업하였다. 제50회 조선일보사 주최 신인음악회에 출연했으며, 서울예고 실내악 콩쿠르 금상, 동아음악콩쿠르 1등, 프랑스 파리 고등음악원 실내악 콩쿠르 Trio 및 Duo 부문에서 각각 1위를 수상하였다. 성남시향, 인천시향, 원주시향, KT챔버 오케스트라,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KCO)와 협연하였고 예술의 전당 교향악축제에 초청되어 협연한 바 있다. 현재 동덕여대 교수, 장천 아트홀 관장, KCO 수석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_조윤선 | Yunsun Cho (Cello)
첼리스트 조윤선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였다. 미국 콜로라도 내셔널 레퍼토리 오케스트라, 독일 마인츠 뮤직 페스티벌, 서울올림픽 기념 국제음악제에서 연주했고 호암아트홀 주최 모닝 음악회, 서울시 오페라단 마티네 콘서트 등에 기획 및 연주로 참여했다. 유라시안 필하모닉 수석, KBS교향악단 객원 부수석, 강릉시향 객원수석을 비롯하여 서울문화재단 문화제휴팀 음악예술자문 및 오케스트라 코치, 코레일 심포니 코치를 역임했다. 현재 오케스트라 디 피니 예술감독 및 SNUa 첼로 앙상블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_서진희 | Jinhee Seo (Cello)
첼리스트 서진희는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였다. 육영콩쿠르에서 1등을 수상했고 대학 재학 중 동기들과 트리오를 결성하여 다양한 연주활동을 하였으며 클레머티스 챔버 앙상블의 멤버로도 활동했다. 대학 졸업후 시카고 American Conservatory of Music 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국내 귀국하여 계원예고, 안양예고, 덕원예고에 출강하는 동시에 트리오 활동과 협연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갔다. 이후 네덜란드로 건너가 아르테즈 예술대학교에서 연주학 과정을 수료했으며 현재 SNUa 첼로 앙상블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_심수정 | Sujung Shim(Cello)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1992년에 도미하여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Mr. Jensen을 사사하였다. 재학 중 다양한 첼로 페스티벌에 참여했으며 시카고에서 Korean-American Piano Trio로 연주 활동을 하였다. 또한 Chicago Library Series에 초대되어 Sulzer Library 등에서 연주하고 Korean-American youth Orchestra 와 협연하는 등 다양한 연주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난파콩쿠르, 음악세계콩쿠르에 입상하고 수원시향과 협연하였으며 Northwest Symphony의 객원수석을 역임하였다. 현재 시카고에서 클레머티스 첼로 콰르텟을 결성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_윤희찬 | Heechan Yun (Double Bass)
더블베이시스트 윤희찬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재학시절 서울시향에서 활동했으며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대에서 수학하며 활발한 앙상블 활동과 마스터 클래스 (Gary Karr, Francesco Pettacci) 및 풍부한 경험을 통해 음악적 소양을 쌓은 후 귀국하였다. 이후 서울시향과 유수의 단체를 통해 한층 성숙한 음악 활동을 펼쳤고 후학 양성에도 힘써 왔으며 다양한 연주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배공준, 김흥교, Manhart, Heinch Schneikart를 사사했으며 예원학교, 서울예고, 덕원예고, 계원예고, 중앙대, 수원대, 국민대, 서울시립대, 동덕여대, 세종대, 건국대 강사를 역임했다.
_김상훈 | Sanghoon Kim (Double Bass)
더블베이시스트 김상훈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한 후 불가리아의 소피아 음악원을 졸업하였다. 현재 KBS교향악단의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하우스콘서트 in 예술가의집 관람 방법 안내+
대학로 예술가의집에서 진행되는 하우스콘서트 대부분의 공연은 별도의 사전 예약 없이, 공연 당일 현장에 오셔서 회비(성인 30,000원 / 고등학생 이하 15,000원)를 내고 입장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공연은 8시에 시작되며, 7시 30분부터 입장하실 수 있습니다. 사전 예약으로 진행되는 일부의 공연에 대해서는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 공연임을 공지하고, 예약 방법과 일시 등을 안내드리고 있으니 이 점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