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제472회 하우스콘서트 | 2015. 12. 20(일) 6시 - 2015 Gala Concert (예약)
일자
2015-12-20
시간
20:00
출연
장소
관람료
일반 0원
문의
02-576-7061, 010-2223-7061
  • 상세정보
  • 예매안내



제472회 하우스콘서트 - 2015 Gala Concert

일    시 ㅣ 2015년 12월 20일(일) 6시

출    연 ㅣ 약 10여개 팀이 출연하며, 연주자는 공연 당일 현장에서 공개됩니다.
장    소 ㅣ 대학로 예술가의 집 3층

회    비 ㅣ 1인 5만원

► 지난해 말, 예술가의 집으로 이전하며 가진 첫 콘서트가 바로 2014년 Gala Concert 였습니다 ^_^ 벌써 1년을 바라보며 2015년 Gala Concert를 안내드리며 지난 40여차례의 공연을 떠올려봅니다. 매주 월요일마다 있었던 하우스콘서트에서 올 한 해는 어떤 추억을 남기셨나요? 2015년을 마무리하는 축제의 장에서 하콘을 사랑해 주시는 여러분들과 함께하고 싶습니다!
 

 

PROGRAM/PROFILE

1.
Yoshiko Uchida (b.1977)
Glenn Miller Medley

Philippe Geiss (b.1961)
Sir Patrick

노바 색소폰 앙상블 / Soprano. 이승동, Alto. 장하늘, Tenor. 이주미, Baritone. 김태영
에스윗 / Soprano. 여요한, Tenor. 최영헌, Alto. 김수룡, Baritone. 장원진
현재 국내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두 색소폰 앙상블이 8중주로 소리를 모은다. 노바 색소폰 앙상블은 2013년 창단되었다. ‘새로운 별’이라는 의미를 가진 노바(Nova)는 별빛의 소리를 들려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청춘 색소폰 앙상블인 에스윗(S.with)은 ‘색소폰 위드 유’라는 의미를 담아 전국 방방곡곡에서 활동하고 있다.

2.
Niccolò Paganini (1782-1840)
Caprice in a minor, Tema con Variazioni, Op.1/24

Henryk Wieniawski (1835-1880)
Scherzo Tarantella, Op.16

Violin. 최주하, Piano.김상희
현재 예원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최주하는 바로크 전국음악콩쿠르, 예원 음악 콩쿠르, 이화 경향 음악 콩쿠르, 한국인터내셔널 음악콩쿠르 등에서 우승하며 주목 받고 있는 신예이다. 피아니스트 김상희는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바로크 아카데미의 상임 반주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예술의전당 영재아카데미 반주강사로 출강하고 있다.

3.
Georges Bizet (1838-1875)
Carmen Suite for Woodwind Quintet

뷔에르 앙상블 / Clarinet. 조성호, Flute. 유지홍, Oboe. 이법승, Bassoon. 이희진(guest), Horn. 주홍진
뷔에르(Vere)는 라틴어로 진실된, 진짜의(Real) 뜻으로 진정성 있는 실내악 음악을 추구하겠다는 의미이며 우리나라에서 목관5중주를 본격적으로 알리기 위해 다양한 무대에서 최고의 앙상블로 관객들에게 다가가고 있다.

4.
Johannes Brahms (1833-1897)
Allegro con moto from Piano Trio No.1 in B Major, Op.8

Violin. 윤동환, Cello. 장현경, Piano. 허원숙
윤동환은 취리히 국립음대에서 학사, 석사 및 최고연주자과정을 마쳤고 이탈리아 프레미오 시타 디 파도바 국제 콩쿠르에서 2위를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첼리스트 장현경은 취리히 국립음대 학사, 연주자 과정, 최고 연주자 과정을 졸업했으며 현재 KBS 교향악단, 서울바로크합주단의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호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인 피아니스트 허원숙은 서울대학교, 빈 국립음대를 졸업했으며 발세시아 국제 콩쿠르 우승을 비롯하여 비오티 국제 콩쿠르, 포촐리 국제 콩쿠르 등에서 입상했다.

5.
Salm

쿨레 / Dance. 엠마누엘 사누, Balafon. 아미두 발라니
아프리카 부르키나 파소 출신의 무용가 엠마누엘 사누, 음악인 아미두 발라니는 한국에서 서아프리카 문화예술의 진수를 보여주기 위해 쿨레 칸을 만들었다. 쿨레 칸은 ‘뿌리의 외침’이란 뜻으로, 우리 모두는 여행자들이며, 어디를 가든 자신의 뿌리와 존엄함을 잊지 말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6.
French Mood

Carlos Gardel (1890-1935)
Por una cabeza

아리랑

Accordion. 알렉산더 쉐이킨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음악학교, 카자흐스탄 우스티카메노고르스크 음대를 졸업한 알렉산더 쉐이킨은 현재 한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아코디언 연주자다. 한국에서 활동을 시작한 이래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등의 공연을 비롯하여 일본, 독일, 대만, 홍콩, 태국 등지에서의 투어 연주를 하는 등 활동 영역을 넓히며 탱고 연주그룹 코아모러스의 멤버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7.
Gregor Piatiorsky (1903-1976)
Variations on a Paganini Theme

Cello 홍은선, Piano 황보영
제오르제 에네스쿠 국제 콩쿠르 우승, 펜데레츠키 국제 콩쿠르 2위 등 세계 무대에서 인정 받고 있는 첼리스트 홍은선은 독일 쾰른 국립음대(학사), 한스 아이슬러 국립음대(석사)를 졸업하였으며 현재 베를린 한스 아이슬러 국립음대에서 최고 연주자 과정을 수학하고 있다. 피아니스트 황보영은 연세대학교, 독일 칼스루에 국립음대를 졸업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선화예고, 안양예고에 출강하고 있다. 

8.
Paul Taffanel (1844-1908)
Fantasie sur “Jean de Nivelle” for Flute and Piano

Claude Debussy (1862-1918)
En Bateau from Petit Suite No.1

Flute 조성현, Clarinet 김한, Piano 김재원
세베리노 가체로니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한 플루티스트 조성현은 현재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제1수석 플루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베이징 국제음악콩쿠르에서 최고 유망주상을 수상, 객석과 중앙일보에서 유망주로 인정받은 클라리네티스트 김한은 런던 길드홀음악연극학교에서 수학하며 다양한 연주활동을 하고 있다. 김재원은 동아음악콩쿠르 등 국내 주요 콩쿠르에서 우승하였으며 금호영재/영아티스트 콘서트 독주회 등 다수의 연주 활동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9.
김효근 (b.1960)
첫사랑

박지훈 (b.1973)
Gloria(반딧불 미사 중)

조혜영 (b.1969)
못잊어

허니보이스 / Conduct 김태광, Soprano 임현아 김라현 윤예원, Alto 오은지 신수연, Tenor 노윤섭 이명호, Bass  조래욱 김윤호, Piano 김민지
허니보이스는 꿀과 같이 달콤한 목소리로 희망을 노래하는 전문합창단이다. 디지털 기술과 전자음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에게 사람의 목소리가 지닌 따뜻한 온기를 전하고자 부드러운 하모니와 이야기가 있는 친숙한 음악으로 관객에게 다가가고 있다. 

10.
Ludwig van Beethoven (1770-1872)
Allegro con brio from Piano Sonata No.21, Op.53

Franz Liszt (1811-1886)
Vallée d'Obermann from Années de pèlerinage I

Piano. 김선욱
김선욱은 18세의 나이로 2006년 세계적 권위의 리즈 콩쿠르에서 대회 40년 만에 최연소 그리고 아시아인 최초로 우승을 거머쥐며 세계 음악계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현재 런던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런던 위그모어홀, 퀸엘리자베스홀, 파리 살 플레옐에서의 독주회 뿐 아니라 로열 콘서트헤보우 오케스트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