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제377회 하우스콘서트ㅣ박창수

제377회 하우스콘서트
일 시 ㅣ 2013년 12월 20일(금) 8시
출 연 ㅣ 박창수
PROGRAM
"말을 할까, 피아노를 칠까"
PROFILE
박창수
64년 서울생. 세계 20여 개국에서 활동하는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뮤직 퍼포먼스 분야에서 독창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1986년 바탕골 소극장에서 뮤직 퍼포먼스로 정식 데뷔하였으며, 이후 매 작품마다 각각 다른 형식과 양식을 통해 늘 새로움을 추구해오고 있다. 특히 1990년 일본에서 발표했던 작품
박창수는 컴퓨터, 인스털레이션, 영상 등을 복합적으로 이용한 총체적인 예술작업과 무용음악, 연극음악, 실험영화음악 등의 무대음악 작업을 병행해왔다. 1995년부터 음악감독으로 참여한 ‘김영희 MUTDANCE’와의 작품은 세계 18개국에서 발표되었으며, 2003년부터는 무성영화에 즉흥연주를 음악을 입히는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서울아트시네마와 주한독일문화원이 공동주최한 <운아힘리히 스페셜>을 비롯 전주국제영화제, 세네프 영화제 등에서 드레이어와 무르나우, 슈트로하임, 루비치, 엡스탱 등의 무성영화에 즉흥 연주를 통한 독창적인 해석을 선보인 바 있다.
작품을 통해 언제나 새로운 시도를 추구하는 그의 면모는 음악작업에 머무르지 않고 그 활동의 폭을 넓혀왔다. 그는 국내 공연문화계에 대한 예민한 문제의식과 탁월한 프로그램 기획력을 인정받으며 수준 높고 새로운 공연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2002년부터 한국 최초로 자택에서 하우스콘서트를 시작하였으며 10년간 클래식, 대중음악, 국악, 실험음악 등 다양한 음악장르의 공연을 370회 가량 무대에 올렸다. 대한민국에 하우스콘서트 열풍을 불러일으킨 그는 작지만 생생한 소통이 오가는 공연으로 풀뿌리 문화의 꽃을 피우고 있다.
특히 그는 2012년 7월에 기획한 <2012 프리뮤직 페스티벌 – 하우스 콘서트 대한민국 공연장 습격작전>을 통해 기존 공연예술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전국 21개 도시, 23개의 공연장에서 일주일간 100개의 공연이 동시다발적으로 개최된 본 페스티벌은 지역 관객들의 문화에 대한 잠재적 욕구와 더불어 이와 같은 프로젝트를 통한 지역 문화의 활성화가 가능한 일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본 페스티벌을 토대로 하우스콘서트는 2013년부터 전국 문화예술회관에서 정기적으로 공연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3년 7월에는 특별히 하루 65개 공연을 같은 시간에 동시다발적으로 개최한 <2013 원데이 페스티벌>을 통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박창수는 그 밖에도 ‘SNU 실험음악제’, ‘전주국제영화제 – 소니마주’, ‘전주세계소리축제 – 무지카 아타락시아’, ‘보이스 오브 아시아’ 등의 음악감독을 역임하였으며, 2008년부터는 매년 ‘프리뮤직 페스티벌’의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하우스콘서트 200회 기념으로 ‘하우스 콘서트, 그 문을 열면(음악세계)’을 책으로 발간하였으며, 2010년에는 Audioguy 레이블을 통해 그의 실험 정신이 담긴 즉흥 연주 음반인 ‘Infinite Finitude’를 발매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