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제368회 하우스콘서트ㅣ소리공감-느루

제368회 하우스콘서트
일 시 ㅣ 2013년 10월 18일(금) 8시
출 연 ㅣ 소리공감-느루

PROGRAM
평조회상 中 "타령"
Good luck to you - 김보현 곡
오페라 <봄봄> 中 안성댁 아리아 "봄이네 봄이야"
김죽파류 가야금 짧은 산조
달아달아 - 김보현 곡
추월만정 - 김보현 곡
넋 - 김보현 곡
시나위 And
* 곡 해설
- 달아달아 (김보현 곡)
1896년 7월 24일에 녹음된 한민족 최초의 음원인 동요 "달아달아"(Child"s Song, "About the Moon"_이희철 노래)를 복원하여 만든 노래곡이다. 음원으로 남아있는 원곡에 선율과 가사를 채워넣었고 장단은 굿거리와 엇모리, 자진모리를 사용하였다. 120여년 전 동요가 현대에 걸맞는 풍성한 색을 입어 어른을 위한 동요로 재탄생한다.
- 추월만정 (김보현 곡)
창작곡 "추월만정"은 판소리 심청가 중 추월만정의 사설을 이용하여 만든 기악곡이다. 황후가 된 심청이가 그리운 아버지에게 편지를 쓰려는데 슬픔이 복받쳐 탄식하는 내용으로, 심청가 중 가장 슬픈 대목으로도 알려져있다. 이를 기악곡으로 재창작하는 과정에서 장면의 변화에 맞게 음악이 흘러가도록 하였고, 서정성은 다소 미니멀하게, 심청이가 느끼는 비통함과 혼란스러운 감정은 변박으로 표현해보았다.
- 넋 (김보현 곡)
각종 사건사고가 난무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모두 바쁘고 힘들다. 일과의 싸움, 사람과의 싸움, 쓸쓸한 고독과의 싸움 등. 보이지 않는 싸움에 그들의 영혼은 지쳐있고, 누군가의 위로를 필요로 한다. 창작곡 "넋"은 우리네 영혼을 위로하고 치유하고자 작곡되었다. 이 곡에 사용된 장단은 1982년 이보형이 채록한 전남 영광 씻김굿을 응용한 것으로 원초적인 장단과 대비되는 복잡한 선율이 교묘히 어우러진다.
- 시나위 And
시나위는 무속음악에 뿌리를 둔 즉흥 기악합주곡으로 악기들이 일정한 장단틀 안에서 즉흥적으로 자유롭게 연주하는 음악이다. 시나위는 자유롭고 즉흥적이지만 결코 산만하거나 불협화음으로 들리지 않기 때문에 이를 두고 "부조화 속의 조화", "혼돈 속의 질서"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시나위에서 장구는 음악을 이끌어가는 조련사 역할을 한다. 아쟁과 해금, 이 둘은 국악기 중 활을 쓰는 악기라는 것은 같지만 음색에서 확연한 차이를 지니고 있으며 타악성을 가진 가야금은 여백을 채워주는 역할을 하고, 구음과 피아노가 더해져 더욱 더 풍성한 소리를 자아낸다. 이번 "소리공감 느루"의 시나위는 기존의 전통 시나위 구성과 조금 다르며 느루 만의 개성이 담겨 있기 때문에 "시나위 And"라고 이름 붙였다. "시나위 And"는 연주자들의 연주만으로는 완성이 되지 않는다. "And"는 관객들의 몫이 되겠다.
PROFILE
소리공감 느루 [Neuru_sympathy for sound]
느루 : "한꺼번에 몰아치지 않고 오래도록"이라는 의미의 순우리말
서울대학교 국악과 03학번 동기들로 구성된 ‘소리공감 느루’는 다양한 모습의 전통음악을 공부해보자는 취지로 2007년에 모였다. 느루는 그 말뜻처럼 우리 음악을 천천히 오래도록 알아가고, 천천히 세상 밖으로 끄집어내는 역할을 하고자 한다. 따라서 묻혀있는 전통음악을 고음반을 통해 복원하고 이를 재해석하여 연주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007 ~ 2010 “박창수의 하우스콘서트” 출연
2012 하우스콘서트 Free music festival (익산솜리문화예술회관, 목포문화예술회관, 진천화랑관, 산청문예회관, 여수시민회관)
2013. 01.04 부암아트홀 “유망신인콘서트”
06.30 운현궁 일요예술마당
07.12 하우스콘서트 One Day Festival - 서울 한남동 ‘김영조의 집’ 공연
08.22 하우스콘서트 고창 문화의 전당 - 우리동네습격작전 단독 공연
10.04 전주세계소리축제 소리프린지 공연
10.18 하우스콘서트 율하우스 단독 공연
11.23 장천아트홀 조사모 송년 음악회 참가 예정
송정아(가야금)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및 동대학원 졸업
제 37회 전국탄금대가야금경연대회 일반부 대통령상
국립국악학교 강사, 라온G 멤버
왕서은(판소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및 동대학원 졸업
한국고음반연구회 회원
김민정(아쟁)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과 석사과정 재학 중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전수자
김보현(작곡)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및 동대학원 졸업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대상 및 동아국악콩쿨 금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과 박사과정 재학 중
허윤재(해금)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및 동대학원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과 박사과정 재학 중
목원대학교 출강, 국립국악학교 강사
객원연주자 - 최영진, 김예슬(타악), 정재우(대금)
영상 제작 - 박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