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제308회 하우스콘서트 | Avri Levitan(Viola), Peter Ovtcharov(Piano)
일자
2012-04-13
시간
20:00
출연
Avri Levitan(Viola), Peter Ovtcharov(Piano)
장소
율하우스 지도보기
관람료
일반 20,000원
문의
02-576-7061, 010-2223-7061
  • 상세정보
  • 예매안내


제308회 하우스콘서트


일    시  |  2012년 4월 13일(금) 8시
출    연  |  Avri Levitan(Viola), Peter Ovtcharov(Piano)



PROGRAM

"Brahms and the viola"

Viola Sonata in E-flat Major, Op.120 No.2
I. Allegro amabile
II. Allegro appassionato
III. Andante con moto-Allegro

Violin Sonata in G Major, Op.78 (on Viola)
I. Vivace ma non troppo
II. Adagio
III. Allegro molto moderato

Cello Sonata in e minor, Op.38 (on Viola)
I. Allegro no troppo
II. Allegretto quasi menuetto
III. Allegro



PROFILE

Avri Levitan | 에이브리 레비탄(Viola)

2010년 2월, 에이브리 레비탄(Avri Levitan)은 로즈 필하모닉과의 윌리엄 월튼 비올라 콘체르토 연주에서  “세계 주요 비올리스트 중 한 명” 이라는 평론을 받았다. 2009 BBC 뮤직 매거진 어워즈 후보인 그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현존하는 가장 우수한 솔리스트 중 한 명이다.
그는 베를린 필하모닉, 비엔나 콘체르트하우스, 도쿄 오지홀, 카잘스홀, 바르샤바 내셔널 필하모닉홀, 서울 금호아트홀, 스톡홀름 니브로카얀홀과 같은 세계의 명망있는 콘서트홀에서 정기적으로 연주한다. 2009/2010/2011년에는 비엔나 콘체르트하우스, 마리보르 페스티벌, 오디토리오 내셔널 마드리드, 예술의전당, 바르샤바 내셔널 필하모닉에서 공연 할 예정이다. 그는 마에스트로 장-자크 칸토로우의 ORCAM 마드리드, 아마데우스 체임버 오케스트라, 일리아 그린골츠와의 모차르트 신포니아 콘체르탄테 협연을 무르시아 오케스트라와, 키예프 내셔널 필하모닉, 수원 필하모닉, 노르딕 심포니 오케스트라, 로즈 필하모닉 등 세계 전역의 다수 체임버, 오케스트라와 연주 할 예정이다. 유명한 아티스트인 더글라스 고든이 연출한 다큐멘터리 “K.364 열차여행”은 바르샤바 내셔널 필하모닉에서의 에이브리 레비탄과 아마데우스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협연을 묘사한 것으로 베니스와 토론토의 인터내셔널 필름 페스티벌에서 상영 될 예정이다. 연주 경력에 더하여, 그는 또한 재능 있는 비올라 선생님이다. 2010년 10월, 그는 스페인의 자라고자 뮤직 콘서바토리에서 비올라, 체임버 뮤직 교수로서 재직을 시작하였다. 그는 펜데레츠키와 함께 비엔나 뮤직 콘서바토리, 도쿄 게다이 대학, 상하이 뮤직 콘서바토리, 크라쿠프 뮤직 아카데미, 텔 아비브 뮤직 아카데미, 리가, 탈린, 빌뉴스 뮤직 아카데미, 부에노스아이레스 뮤직 콘서바토리와 같은 세계의 유명한 뮤직 아카데미의 마스터클래스 지도자로 초대되었다. 에이브리 레비탄은 미국 시카고의 라비니아 뮤직 페스티벌, 독일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와 롤랜즈 에크, 일본의 히다타카야마 뮤직 페스티벌, 스웨덴의 바스타드와 고틀란드 뮤직 페스티벌, 폴란드의 베토벤 페스티벌, 한국의 서울 인터내셔널 뮤직 페스티벌, 슬로베니아의 마리보르 페스티벌 등 다수의 페스티벌에 초청된다.
1973년, 텔 아비브에서 태어난 에이브리 레비탄은 하임 타우브에 사사하였다. 그는 루빈 텔 아비브 아카데미를 졸업하였고, 프랑스 쉬페리외르 내셔널 콘서바토리에서 최고 연주자 과정의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루빈 아카데미 경연과 프랑스 쉬페리외르 내셔널 콘서바토리의 체임버 뮤직 경연에서 우승하였다. 그는 핀카스 주커만, 과르네리 콰르텟의 마이클 트리, 이브리 기틀리스에 사사하였으며, 아메리카-이스라엘 문화재단에서 정기적으로 장학금을 받고 있다. 그리고 그는 현재 베를린에 살고 있다.
그는 클로드 프랭크, 프니나 살츠만, 롤랜드 폰티넨, 스테판 스케자, 벵트 포쉬바리, 볼프람 리거, 피터 야블론스키, 파벨 글리로프, 제라르 뿔레, 자카르 브론, 가이 브라운슈타인, 울프 발린, 아르베 텔레프센, 얀 스타니엔다, 버나드 그린하우스, 게리 호프만, 알렉산더 루딘, 톨라이프 테딘, 칼-하인츠 스테픈스, 예지 마크시미우크, 니콜라이 다이마두라, 노암 샤리프, 아그네쉬카 두취말과 같은 세계적으로 알려진 뮤지션들과 함께 연주하였다. 에이브리 레비탄은 독일의 ZDF와 NDR, 또한 이스라엘, 스웨덴, 폴란드, 코스타리카 등 다수의 국영 TV와 라디오에서 연주하였다. 2004년, 도쿄 후지 라디오에서의 그의 콘서트는 “스트링스” 매거진에서 훌륭한 논평을 받았다.


Peter Ovtcharov | 피터 옵차로프(Piano)
피터 옵차로프(Peter Ovtcharov)는 러시아의 유명한 영화감독인 아버지 세르게이 옵차로프와 피아노 교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1981년 세인트피터즈버그에서 태어났다. 5세에 피아노를 처음 접한 후, 7세에 국립 레닌그라드 콘서바토리의 영재 음악원에 입학하여 루보 루도와를 사사하고 신동으로서 인정받음과 동시에 세르게이 말체프, 블라드미르 크라이네프 등의 대가들에게서 피아노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러시아에서 공부하는 동안 우크라이나의 블라드미르 크라이네프 콩쿠르, 체코의 콘체르티노 프라하 콩쿠르 뿐 아니라 러시아의 비르투오센 2000등 여러 콩쿠르에서 수 차례 입상하고, 러시아의 여러 음악 페스티발에 초청받아 모스크바 국립음악원의 콘서트홀, 라흐마니노프홀과 세인트피터즈버그 필하모니의 콘서트홀, 키로프극장 등의 유명 홀에서 연주를 가졌다. 13세에 유리 테미르카노프 지휘 아래 세인트피터즈버그 필하모니와 협연을 하였으며, 14세에 러시아 문화부에서 세인트피터즈버그의 대표로 선발되어 파리를 비롯한 프랑스 각 도시에서 순회공연을 하였다. 1997년에 열린 제 3회 영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은메달의 영광을 얻고, 1999년 러시아 주요 방송국인 NTV에서 주최한 신년음악회에서 유리 바쉬메트, 기돈 크레머,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등과 같이 초청되어 연주를 가졌다. 영재음악원을 졸업한 후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국립음대에서 칼-하인츠 캠머링를 사사하는 동안에 수많은 유럽 후원상 및 장학금을 받고 뉴 네임스 재단, 뵈센도르퍼, 인터네셔널 모차르테움 재단, 빈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재단 등 러시아와 오스트리아 국가의 후원 장학생으로 선발되었으며 존 오코넬, 안드라스 쉬등의 여러 대가들에게 도움을 받기도 했다.
2004년 쇼팽게젤샤프트 하노버의 1등 및 청중상, 오스트리안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숨 콩쿠르 1등, 뵈젠도르퍼상, 영 차이코프스키, 잘츠부르크 인터네셔널 썸머 아카데미 등의 콩쿠르에서 입상하고, 2005년 비엔나에서 4년에 한번 열리는 베토벤 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그 후 비엔나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인 베르트랑 드 빌리의 초청으로 2007년에 도쿄 오페라 씨티홀, 오사카 심포니홀등에서 그와 함께 솔리스트로 일본 공연을 하였고, 전 공연이 매진되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 외에도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 등지에서 모차르트 해 기념 초청연주를 가지는 등 아시아 외 러시아와 유럽 각국에서 초청연주를 가졌고 세인트피터즈버그 필하모니, 짤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 빈 라디오심포니 오케스트라 등 유명 오케스트라와 협연을 하였다. 2008년 2월, 뮌헨 필하모니 가슈타익에서 열린 아드리안 브렌델과의 듀오 콘서트에 대해 독일 일간지는 “놀라운 팀워크...과연 음악적 소울메이트라 증명되는 두 예술가의 조합과 일치...”라 극찬하였다. 그 외에도 유럽의 유명 음악 페스티발에 초청되고, 유럽 각국과 일본 쇼와 아카데미에 마스터클래스 교수로 초청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매년 여름에는 오스트리아의 알레그로 비보 마스터클래스 및 페스티발에 상주 연주자 겸 상임교수로 초청되어 있다.
한국에서도 예원학교, 한국피아노협회, 음연, 모차르트 홀 및 여러 대학에서 마스터클래스 교수로 초청되었고 연주활동을 활발하게 하며 현재 상명대학교 교수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