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제276회 하우스콘서트 | 박민희, 고진호, 김솔미, 심운정, 계수정
일자
2011-02-23
시간
20:00
출연
박민희(노래), 고진호(대금), 김솔미(양금), 심운정(타악), 계수정(피아노)
장소
율하우스 지도보기
관람료
일반 20,000원
문의
02-576-7061, 010-2223-7061
  • 상세정보
  • 예매안내


제276회 하우스콘서트

일    시  |  2011년 2월 23일(수) 8시
출    연  |  박민희(노래), 고진호(대금), 김솔미(양금), 심운정(타악), 계수정(피아노)



PROGRAM

1. 우조시조 : 월정명 - 대금, 양금, 타악, 노래
2. 가사 : 황계사 - 대금, 장구, 노래
3. 휘모리시조 : 창내고자 - 대금, 장구, 노래


-Intermission-


4. 윤혜진 작곡 : 견적, 자취를 보다 - 타악, 노래
5. 윤혜진 작곡 : 물 속의 물고기가 목말라 - 대금, 양금, 타악, 노래
6. 박민희, 계수정 구성 : 가곡 - 피아노, 노래



PROFILE

박민희(노래)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및 동대학원 수료
제16회 동아국악콩쿠르 학생부 정가부문 금상 수상
월간 ‘객석’ 선정 2010 차세대를 이끌 10인의 유망주

박민희는 전통음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무용과 현대미술 등 인접장르 예술과의 협업으로 다양한 실험을 하는 한국전통성악가다.
여창가곡 한바탕 15곡의 독창회 등 다수의 전통음악회를 비롯하여 독일에서 열린 ‘2010 Schumann Fest’, 벨기에의 ‘Klara festival’등 유럽의 각종 현대음악제에도 참여하는 등 전통음악과 현대음악에서 고루 활동하고 있다. 또한 현대무용그룹 안은미컴퍼니의 작품 "바리"에서 목소리와 몸의 신체언어를 사용한 작품에 출연, 이를 통해 2009 피나바우쉬 페스티벌 등의 다양한 현대무용페스티벌에도 참여하였으며, 2010년 10월에는 퍼포먼스 설치 전시회를 열어 전통음악의 다원예술화를 시도하고 있다.  

<활동 경력>
2010. 12. 06- 2011. 01. 31 Taipei Artist Village 입주 선정 아티스트
                 (대만 타이페이 소재, 예술경영지원센터 지원사업)
           10. 14-31 박민희·이강일·지민희 3인展 <오필리아의 모험> _갤러리 팩토리
                 (서울문화재단 다원예술부문 지원사업)
           10. 21     서울국악관현악단 제30회 정기연주회 <악·가·무의 신가악> ‘오감도’
                 (박경훈 작곡) 초연 협연 _국립국악원 예악당
           08. 20     아트라운지 디방 뉴뮤직시리즈 ‘프리뮤직1’ 계수정, 김책, 최창우, 박민희_아트라운지 디방  
           04. 30     Schűmann Fest. <사랑과 삶의 윤회> _독일문화원 Goete institute
           02. 10-13 Ensemble Phoenix와 스위스 4개 도시 순회 음악회   
           06. 10     2010 대한민국 정가축제 <정가드라마 선우일선 이야기 ‘꽃을잡고’> 선우일선 배역 _북촌창우극장
           05. 29     슈만 200주년 기념 페스티벌 <낯선 나라와 낯선 사람들>솔리스트_독일 뒤셀도르프 슈만 홀
           02. 25-27  안은미컴퍼니 교향예술프로젝트 <바리-저승편> 음악 및 현대무용_명동예술극장 (명동예술극장 복원 1주년 축하공연)
2009. 09. 05 Emsemble TIMF 협연  _벨기에 브뤼셀 BOZAR극장
            08. 14~15  서사음악극 <토지> 최서희 배역  _원주시 따뚜공연장
            08. 11  박민희 독창회 <박민희 여창가곡 한바탕 ‘사랑거즛말이’> _서울남산국악당


박민희의 소리에는 일관되게 사람을 흡입하는 힘이 있었다. 그것은 가곡에 대한 가객 스스로의 자부심과 사랑에서 비롯된 것이라 여겨진다. 노래 속에 빠져있는 젊은 가객의 당당함에 관객들은 숨죽이며 빨려들 수밖에 없었다.
===== 월간 객석 2009년 9월호 리뷰기사

박민희는 인접장르의 예술가들과 교류에 적극적이다. 그는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무용가의 무용작품에 보컬리스트이자, 무용수로 참여했다. 박민희의 강점은 ‘세련됨’이다. 그는 어떤 자리에서 어떤 노래를 불러도 그의 우아함은 존재한다. 한국의 전통적인 노래인 가곡(歌曲)은 물론, 다양한 노래에서 그의 이러한 세련됨은 빛을 발하고 있다. 그는 ‘이야기’를 ‘노래’로 논리적으로 풀어낼 줄 아는 ‘호모로쿠엔스’다.
===== 윤중강 음악평론가  

상류사회의 전통 성악인 정가를 현대화하여 작곡가와 같이 작업하여 일련의 음악이 지속적으로 무대에서 발표되고 있다. 박민희는 새로운 노래음악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젊은 성악인중 하나다.
===== 현경채 음악평론가


고진호(대금)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전문사 수료
동아콩쿨 입상
음악동인 고물 대표
“잔상_전통음악에 대한 기억의 단편들”, “허구” 등 다수의 대금독주회

김솔미(양금)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음악동인 고물

심운정(타악)
국립국악중·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석사과정
중요 무형문화재 제 7호 고성오광대 전수
음악극컴퍼니 공;共.工.公 동인
2009 21세기 한국음악프로젝트 월드뮤직상 수상
2010 21세기 한국음악프로젝트 실험정신상 수상

계수정(피아노)
연세대학교에서 피아노를 전공하고 미국 버클리음대와 Boston Conservatory에서 재즈, 작곡, free Improvisation을 공부하고 Diploma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Moers Festival, 하이서울 페스티벌, 아트센터 나비 p.art.y, 부천국제영화제, 미국 Autumn uprising festival등의 초청연주를 했으며 Omi International Art Center의 음악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게스트 디렉터로도 참여하였다. Ricardo Cavalli, Nate Wooley,  Chang U Choi, Jim Hobbs, Tomas Fujiwara, Jazz Composers Alliance Orchestra, 서울시향 등과 연주하였고,  sOo"s cOllage의 리더로 활동 중이다. 베니스국제영화제 수상작 "검은땅의 소녀와" 를 포함한 영화, 무용, 만화 등의 다양한 장르에서 새로운 아이디어의 음악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동아방송예술대학 영상 음악계열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