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제1101회 하우스콘서트 | July Festival - 스트라빈스키 춤 음악 1.
일자
2025-07-06
시간
16:00
출연
정다현 / 김재원(Piano) / 김현미(Violin), 김은찬(Piano) / 김우연(Clarinet), 안지수(Violin), 김종윤(Piano)
장소
대학로 예술가의집 3층 지도보기
관람료
일반 40,000원
문의
02-576-7061, 010-2223-7061
  • 상세정보
  • 예매안내

✧ 예매링크 : booking.naver.com/booking/5/bizes/1421025


► 더하우스콘서트의 모든 공연은 '사전 예약제'로 진행됩니다. 

► 본 공연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가의집 공동기획 프로그램으로 진행됩니ㅋ다. 

► 2025 줄라이 페스티벌 <여름의 제전>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공연입니다.



PROGRAM


Igor Stravinsky (1882-1971)

Piano-Rag-Music, K032

ㅡ 정다현(Piano)


Serenade in A, K044

1. Hymne

2. Romanza

3. Rondoletto

4. Cadenza finala

ㅡ 정다현(Piano)


Ragtime for 11 instruments, K030 *performed on Piano Solo

ㅡ 김재원(Piano)


Tango, K062

ㅡ 김재원(Piano)


Divertimento for Violin and Piano from “Le Baiser de la fée (요정의 입맞춤)”, K049

1. Sinfonia

2. Danses suisses

3. Scherzo

4. Pas de deux: Adagio—Variation—Coda

ㅡ 김현미(Violin), 김은찬(Piano)


Suite from L'Histoire du soldat (병사의 이야기), K029

1. Marche du soldat (병사의 행진)

2. Le violon du soldat (병사의 바이올린)

3. Petit concert (작은 음악회)

4. Trois danses : Tango - Valse - Rag (3개의 춤곡 : 탱고-왈츠-래그타임)

5. Danse du diable (악마의 춤)

ㅡ 김우연(Clarinet), 안지수(Violin), 김종윤(Piano)



⎯⎯⎯⎯⎯⎯⎯⎯⎯⎯⎯⎯



PROFILE


정다현 | Da-hyun Chung (Piano)

뉴욕 타임스로부터 “뛰어난 민첩성과 품위있는 연주”라는 평을 받은 피아니스트 정다현은 예원학교, 서울예고를 거쳐 서울대 음대를 졸업 후 줄리아드 음악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대 음대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그는 음악춘추콩쿠르, 음악저널콩쿠르, 이화경향음악콩쿠르에서 1위를 수상하고 일본에서 열린 제6회 아시아 쇼팽 국제 콩쿠르 1위, 베트남 하노이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2위 및 The Best Chopin Solo Work Player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계원예중·고, 예원학교, 서울예고에 출강하며 현대음악 전문 단체 TIMF앙상블의 정단원, 유럽 본사 Fever에 기반한 Candlelight의 피아니스트로 활동 중이다.


-


김재원 | Jaewon Kim (Piano)

예원학교, 서울예고를 거쳐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수학한 김재원은 제47회 동아음악콩쿠르 1위 등 다수의 콩쿠르에서 상위로 입상했다. 금호영재콘서트 데뷔 후 국립심포니, 아르떼 심포니 등 다양한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그는 탁월한 실내악 센스를 가지고 서울시향 실내악 시리즈, 부페 크람퐁 디바인 클라리넷 콘서트 등에서 연주했으며, 파스칼 모라게스, 찰스 나이디히 등 세계적인 연주자들과 호흡을 맞췄다. 자작곡 솔로 음원에 이어 정규 1집 「오래된 이야기」와 2집 「그 때 우리는」을 발매한 바 있으며, Club M을 창단하여 리더이자 피아니스트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더불어 2020년 WE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 및 예술감독으로 선임되어 전국 주요 공연장에서 꾸준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김현미 | Hyun Mi Kim (Violin)

김현미는 워싱턴 국제 콩쿠르, 동아음악콩쿠르 등에서 입상하였고, 말보로 음악 축제, 탱글우드 음악 축제 등에 초청되어 연주하였다. 또한 「Musicians from Marlboro」 시리즈로 카네기홀, 앨리스 툴리홀, 케네디센터 등에서 순회 연주한 바 있으며, 콰르텟 21의 멤버로 꾸준히 활동하며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올해의 예술상을, 2007년에는 제39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대통령상), 2008년 제3회 대원음악상 연주상을 수상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로 재직하며, 코리아나 챔버뮤직 소사이어티의 음악감독, 콰르텟21의 멤버이자 2025 평택 실내악축제의 음악감독을 맡고 있으며, 최근 결성한 실내악 단체 Ad Musica의 리더로 활동 중이다.


김은찬 | Eunchan Kim (Piano)

김은찬은 야마하 라이징 아티스트 시리즈-중앙음악콩쿠르 위너시리즈와 금호영아티스트콘서트를 통해 데뷔하였다. 서울대 음대를 우등으로 졸업한 후 도미한 그는 뉴잉글랜드 음악원, 예일대, 피바디 음악원에서 장학생으로 모든 과정을 마쳤다. 미국과 중국에서의 연주활동과 더불어 2025년 피아노 독주회 「Death and Salvation」, 서울내셔널심포니오케스트라, 알테무지크서울과의 협연, 백주영, 김세일, 홍혜란 등 국내 최정상 아티스트들과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무대에서 관객을 만나고 있는 그는 현재 경희대, 단국대, 부산대, 서울예고, 예원학교에 출강 중이다.


-


김우연 | Wooyun Kim (Clarinet)

김우연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졸업 후 쾰른 국립음대에서 수학하였으며, 뤼베크 국립음대에서 한국인 최초로 자비네 마이어를 사사하며 석사 및 최고연주자과정을, 드레스덴 국립음대에서 Meisterklasse과정을 졸업했다. 중국 베이징 국제 음악 콩쿠르 우승, 독일 마르크노이키르헨 국제 기악 콩쿠르 3위, 클래식 윈드 국제 콩쿠르 클라리넷 부문 우승 등을 수상한 김우연은 드레스덴 국립음대 티칭 어시스턴트와 스웨덴 달라 신포니에타 부수석을 역임한 후 귀국하여 활발한 연주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안지수 | Jisoo Ahn (Violin)

안지수는 금호영재, 금호영아티스트 등 여러 오디션에 합격하여 음악을 선보였다. 서울예고 수석 입학, 서울대 관악회 전액 특지 장학생, 현악과 실기 최우수 학생으로 선발되었으며, 제88회 조선일보 신인음악회에서 연주하였다. Tokyo Minato City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에서 3위를 하였고, SNU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악장을 역임, SNU 심포니 오케스트라 협주곡의 밤에서 협연한 바 있다. 이소란, 이선이, 박재홍을 사사했으며, 현재 백주영을 사사하며 서울대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다.


김종윤 | Jongyun Kim (Piano)

김종윤은 예원학교 수석 입학 및 졸업 후 서울예고 재학 중에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영재 입학하여 예술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이후 도독하여 베를린 한스 아이슬러 국립음대에서 석사과정, 미국 콜번 스쿨에서 전문연주자과정을 밟았다. 일찍이 이화경향음악콩쿠르 1위, 중앙음악콩쿠르 1위 등 국내 유수 콩쿠르에서 인정받았고, 이후 마리아 카날스 국제 음악 콩쿠르 2위, 서울국제음악콩쿠르 2위 및 부조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부조니 작품 특별상 등을 수상하였다. 현재 Ensemble Project, Trio On의 멤버로서 솔로와 실내악 연주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