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제1030회 하우스콘서트 | JULY Festival. 문성우 / 송민혁 / 김태형 / 지인호 / 최영선
- 일자
- 2024-07-03
- 시간
- 20:00
- 출연
- 문성우, 송민혁, 김태형, 지인호, 최영선(Piano)
- 장소
- 대학로 예술가의집 3층 지도보기
- 관람료
- 일반 50,000원
- 문의
- 02-576-7061, 010-2223-7061
.png)
제1030회 하우스콘서트 in 예술가의집
일 시 ㅣ 2024년 7월 3일(수) 8시
출 연 ㅣ 문성우, 송민혁, 김태형, 지인호, 최영선(Piano)
장 소 ㅣ 대학로 예술가의집 3층
주 소 | 서울시 종로구 동숭길 3 (동숭동 1-130)
회 비 | 50,000원 (*사전예약/80명)
► 더하우스콘서트의 모든 공연은 '사전 예약제'로 진행됩니다.
► 본 공연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가의집 공동기획 프로그램으로 진행됩니다.

PROGRAM
Robert Schumann (1810-1856)
Abegg Variations, Op.1 (아베크 변주곡)
Thema: Animato
Var.1
Var.2
Var.3
Cantabile non troppo lento
Finale alle Fantasia: Vivace
ㅡ 문성우(Piano)
Geistervariationen in E-flat major, WoO 24 (유령 변주곡)
Thema: Leise, innig (테마: 조용히, 진심을 담아)
Var.1
Var.2 Canonisch (캐논처럼)
Var.3 Etwas belebter (좀 더 생기있게)
Var.4
Var.5
ㅡ 송민혁(Piano)
Carnaval, Op.9 (카니발)
1. Préambule (전주곡)
2. Pierrot (피에로)
3. Arlequin (아를르캥)
4. Valse noble (우아한 왈츠)
5. Eusebius (오이제비우스)
6. Florestan (플로레스탄)
7. Coquette (코케트)
8. Replique (응답)
9. Papillons (나비)
10. A.S.C.H S.C.H.A. (Lettres Dansantes) (춤추는 문자)
11. Chiarina (키아리나)
12. Chopin (쇼팽)
13. Estrella (에스트렐라)
14. Reconnaissance (재회)
15. Pantalon et Colombine (판탈롱과 콜롬빈)
16. Valse allemande (독일풍 왈츠)
17. Paganini (파가니니)
18. Aveu (고백)
19. Promenade (산책)
20. Pause (휴식)
21. Marche des Davidsbündler contre les Philistins (필리스틴에 대항하는 다비드 동맹의 행진)
ㅡ 김태형(Piano)
8 Novelletten, Op.21 (노벨레텐) *excerpt
8. Sehr lebhaft (매우 활기차게)
ㅡ 지인호(Piano)
Piano Sonata No.1 in F-sharp minor, Op.11
1. Introduzione: Un poco Adagio - Allegro vivace
2. Aria
3. Scherzo e Intermezzo: Allegrissimo - Lento - Tempo primo
4. Finale: Allegro un poco maestoso
ㅡ 최영선(Piano)

PROFILE
문성우 | Seong Woo Moon (Piano)
문성우는 제47회 중앙음악콩쿠르에서 전 부문 최고점으로 1위를 수상하였고, 2022 힐튼 헤드 국제 콩쿠르에서 3위에 오르며 국내 및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었다. 일찍이 해외파견콩쿠르 전체대상과 제9회 신한음악상을 받았으며, 동아음악콩쿠르에서 2위를 수상한 바 있다. 또한 조선일보 신인음악회와 금호영아티스트 독주회를 비롯해 롯데콘서트홀, 세종문화회관 등의 무대에 오른 문성우는 2023 뉴잉글랜드 음악원 협주곡 콩쿠르에서 우승하여 조던홀에서 NEC 심포니와 협연하였고, 내년 1월 타이베이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이 예정되어 있다. 서울예고 졸업 후 주희성을 사사하며 서울대 음대를 졸업했으며, 현재 손민수의 지도하에 뉴잉글랜드 음악원 석사과정 중에 있다.
-
송민혁 | Minhyuk Song (Piano)
예원학교, 서울예고 졸업 후 한국예술종합학교 예비학교를 수료한 송민혁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와 동 대학 예술전문사를 졸업하였으며, 이후 도독하여 프랑크푸르트 국립음대 석사과정 및 프라이부르크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였다. 일본 영 아시아 쇼팽콩쿠르 1위, 삼익콩쿠르, 한국리스트콩쿠르, 부암콩쿠르 등에서 입상한 그는 이후 Scriabi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3위 및 청중상, Città di Massa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1위를 수상한 바 있다. 또한 Città di Grosseto 오케스트라, Musikhochschule Freiburg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으며, 프라이부르크 ‘Begeisterndes Benefizkonzert der Carl-Isler-Stiftung’ 연주회, 스위스 베른 Kursaal 초청연주회 등을 비롯 일본, 독일, 이탈리아 등에서 공연을 가졌다. 김대진, 한유경, 윤유진, 현영주, Gilead Mishory, Oliver Kern을 사사한 송민혁은 현재 동화고 예술중점학교에 출강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
김태형 | Tae-Hyung Kim (Piano)
김태형은 퀸 엘리자베스, 트리에스테 국제 실내악 콩쿠르 등 피아노 및 실내악 콩쿠르에서 1위를 비롯한 다수의 입상을 거뒀다. 영국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러시아 내셔널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 무대를 가졌으며, 블라디미르 스피바코프, 마린 알솝 같은 명 지휘자 및 정경화, 노부코 이마이 등 명 연주자들과도 호흡을 맞췄다. 김태형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한국예술종합학교(강충모 사사)를 거쳐 독일 뮌헨 국립음대에서 엘리소 비르살라제 사사로 최고연주자과정을 마친 후 모스크바 차이콥스키 음악원에서 수학했다. 또한 뮌헨 국립음대에서 헬무트 도이치의 사사로 성악가곡반주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였고, 트리오 가온의 멤버로서 크리스토프 포펜과 프리드만 베르거 문하에서 실내악 과정을 수학하였다. 2008년부터 6년간 대원문화재단의 후원을 받았으며 음반 「The Portrait」(소니클래식), 첼리스트 김두민과 듀오 음반(위너뮤직)을 발매했다. 현재 경희대 음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성남아트센터의 마티네 시리즈 진행자로서 관객을 만나고 있다.
-
지인호 | Inho Gi (Piano)
지인호는 예원학교 졸업 후 서울예고를 공로상 수상 및 차석으로 졸업하였다. 음악세계콩쿠르 전국 결선 전체대상, 국민일보·한세대음악콩쿠르 및 CBS전국청소년음악콩쿠르 1위를 비롯해 아시아·태평양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이화경향, 수리, 성정 등에서 상위 입상한 그는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펠츠만의 초청으로 뉴팔츠 썸머 피아노 페스티벌에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참여하였다. 대구시향, 프라임필하모닉, 청주시향 등과 협연하였으며, 포아피아노연구회 기획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연주회에 참여하였다. 더하우스콘서트 주최 24시간 프로젝트, 줄라이 페스티벌, 제1008회 하우스콘서트에서 연주하였고, 열혈 건반 예비 예술인, 조성진 마스터클래스 오디션에 선발된 바 있다. 강충모, 손은정을 사사했으며, 현재 주희성 교수 지도하에 서울대 음대 3학년에 재학 중이다.
-
최영선 | Young Sun Choi (Piano)
최영선은 리나 살라 갈로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을 비롯해 산안토니오, 뵈젠도르퍼, 리옹, LA 파데레프스키, 슈베르트 국제 실내악 콩쿠르, 동아음악콩쿠르 등에서 입상하였다. 멕시코시티 필하모닉, 밀라노 심포니와의 협연을 비롯해 KBS교향악단, 프라임필, 카잔 체임버 오케스트라, 오르페오 스틸로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하였다. 미국 파데레프스키 페스티벌에 Martin Garcia Garcia, Mateusz Krzyżowski, Maria Stratigou, 이혁과 함께 Five Great Pianists로 초청되어 오프닝 콘서트를 하였고, 이탈리아 Cremona Musica 페스티벌, Fondazione La Società dei Concerti 페스티벌에 초청되었다. 텍사스 공영 라디오에 연주 실황이 방송되었으며, 그래미어워드 수상 작곡가 Michael Fine에게 Three Preludes를 헌정 받았다.